수업 복습도중 스위치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알게 되었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enum 문 열거형 -> 정수
enum DIR
{
LEFT,
RIGHT,
UP,
DOWN
};
int main()
{
int a = RIGHT;
switch (a)
{
case LEFT:
cout << 0 << endl;
break;
case RIGHT:
cout << 1 << endl;
break;
case UP:
cout << 2 << endl;
break;
case DOWN:
cout << 3 << endl;
break;
default:
cout << 4 << endl;
break;
}
}
이전공부했던 코드의 일부분.
int a = RIGHT; 로 정의되었고 RIGHT는 switch(a) 문 안에서 1로 출력되게 되어있다.

수업에서 스위치문의 각조건에는 break; 를 꼭 넣도록 되어있는데
만약 브레이크문이 없었을때는? 하는 유튜브영상을 보고 실행해 보았다.

위처럼 해당부분의 break 부터 아래 몇개의 break를 지워본 결과 스위치문은
조건~브레이크가 있는부분 or 브레이크가없다면 끝까지 모든 작업을 수행해 버린다.
복습하다 알게된 사소한내용이지만 까먹지 않도록 체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습2 - 연산자 (0) | 2022.11.08 |
---|---|
복습1 - 정수와 실수 (0) | 2022.11.08 |
방위 이름짓기 참고 (0) | 2022.10.28 |
메모리 누수 / 가비지 컬렉션 / 메모리 단편화 (0) | 2022.10.28 |
상수와 포문을 이용한 별찍기 과제 (0)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