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259 [언리얼5] 언리얼5.0 시퀀스편집 오류 언리얼5(5.0.n 버전)대에는 애니메이션에서 원하는 프레임만 추출하는 시퀀스 편집에 오류가 있습니다. 지정된 프레임만 잘라낼 수 없는 버그 입니다. 5.3 버전을 사용하다 5.3의 패키징 이슈로 버전을 낮췄으나 낮춘버전에서도 다양한 이슈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해당 버그를 해결 할 수는 없으나 언리얼4버전으로 에셋을 이주하거나 좀더높은 5.1 버전이상에서 편집후 현재 프로젝트로 다시 가져오는 방법도 있으나 좀더 편하게 5.0버전에서 편집하는 방법을 정리 합니다. 애니메이션 몽타주 생성하기 작업해야할 애니메이션의 몽타주를 생성 하도록 합니다. 몽타주 녹화 하기 몽타주 화면의 하단에서 재생 옆의 붉은 버튼을 사용하여 녹화를 실행합니다. 원하는 프레임의 구간을 녹화하도록 합니다. 녹화를 클릭후 애니메이션을 .. 2024. 2. 28. [언리얼5] 신규 개인 프로젝트 신규 언리얼5 개인 프로젝트 멀티플레이(언리얼,스팀 서브시스템 활용) 슈팅게임(1인칭? 3인칭? 배그느낌으로 할듯) 사이버펑크컨셉(메인화면레벨 대기중의레벨 실제 전투하는레벨 총3개의 레벨로 구성) 전투구역의 랜덤한 위치에 스폰되어 맵상에 뿌려져있는 아이템을 획득하고 전투 진행 진행상황 스팀에 연결하여 서버생성 및 참가 완료(1명이 호스트가되어 서버를 생성/그외인원은 생성된 세션으로 접속) 일정인원이 로비(세션)에 접속할경우 전투구역으로 서버 레벨 전환 메인화면(메인레벨) 디자인 완료 대기레벨(로비레벨) 디자인 완료(메인화면의 레벨 재사용) 전투구역 레벨 디자인 완료 2024. 2. 24. [언리얼5] .gitignore 업데이트하기 언리얼 프로젝트를 Git에 저장하는 중 필요없는 폴더나 파일만 골라 커밋하지 않기위하여 예외처리(ignore)를 설정 합니다. 프로젝트를 미리 생성하고 Git에 커밋한 상태에서 .gitignore에 예외처리할 경로만 적어 둔다고하여 예외처리 되지 않는 경우에는 캐시를 삭제하고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1. Git Bash 실행하기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GitBash를 실행하고 .gitignore 파일이있는 프로젝트의 경로를 입력합니다. 경로 입력 코드( _ 언더바 = 공백한칸! ) cd _ /프로젝트의경로2. 기존의 캐시 삭제하기캐시 삭제 코드( _ 언더바 = 공백 한칸! ) git _ rm _ -r _ --cached.3. 변경 파일 추가파일 추가 코드( _ 언더바 = 공백 한칸! ) git _ add.. 2024. 2. 19. [언리얼5] 플러그인 생성하기 온라인 세션을 생성하기위한 플러그인 만들기1.편집 > 플러그인 > 추가플러그인 창에서 [+추가] 버튼을 사용하여 새로운 플러그인을 생성합니다.생성 하는 플러그인에 작성자 및 플러그인에 대한 설명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생성 완료시 안내 문구가 출력되고, 새로운 폴더가 생성 됩니다. 이후 VisualStudio 솔루션 파일에서 C++클래스를 생성 할때처럼 안내창 출력시 모두 다시로드 합니다.2. 플러그인 코드 추가생성한 플러그인의 .uplugin 파일에 필요한 모듈을 추가해 주도록 합니다.스팀을 통한 세션을 만드는 플러그인이기 때문에 온라인서브시스템, 온라인서브시스템스팀 모듈을 사용하는 코드를 추가 합니다.이후 .Build.cs 파일의 Public 구간에도 추가 하도록 합니다.3. 생성 폴더 확인하기Ctr.. 2024. 2. 19. [언리얼5] 스팀 연결 멀티 플레이 테스트 언리얼 온라인서브시스템, 스팀 온라인서브시스템 모듈을 사용 세션을 생성후 스팀을 통하여 서로 다른 컴퓨터, 스팀계정을 동일한 세션에 접속 게임실행 > 어느한쪽의 계정에서 세션을 생성 > 세션을탐색 > 동일한 매치타입 검색 > 검색 완료후 바로 세션 접속 메인PC와 서브PC를 사용하여 멀티 플레이를 테스트. 서브PC의 사양이 부족하므로 패키징한 프로그램이 간시히 돌아가기만함... 렉 심각 2024. 2. 18. [언리얼5] 언리얼 온라인 서브시스템 스팀 연결 플러그인 활성화 편집 > 플러그인 > Online Subsystem Steam 을 활성화 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모듈 추가 프로젝트명.Build.cs 에 OnlineSubsystem , OnlineSubsystemSteam 모듈을 추가합니다. DefaultEngine.ini 파일 수정하기 프로젝트 파일의 Config 폴더에있는 DefaultEngine.ini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실행후 언리얼 홈페이지의 코드를 복사하여 하단에 붙여넣기 합니다. 추가해야할 코드 [/Script/Engine.GameEngine] +NetDriverDefinitions=(DefName="GameNetDriver",DriverClassName="OnlineSubsystemSteam.SteamNetDriver",DriverCl.. 2024. 2. 1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44 다음